티스토리 뷰
6월 15일부터 판매하는 청년도약계좌는 정부에서 가입 청년 대상 정부기여금을 최대 월 24000원까지 지급하고 기본금리와 우대금리를 적용받으며 세금 비과세 혜택까지 받아 최종 5년 후 5000만 원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적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우대금리 적용받는 방법
시중은행마다 기본금리 3-4%대 금리와 함께 우대금리를 합하여 6%의 표면금리를 보이는 청년도약계좌는 비과세 혜택과 정부기여금을 합하면 8%가 넘는 적금으로 가입 대상이 된다면 가입을 미루지 말고 하루라도 빨리 해야 이득입니다.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는 이 적금을 국민은행에서 우대금리를 최대한 받으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요? 국민은행의 경우 최대 1.5%까지 적용받으며 우대금리와 특별우대금리는 만기까지 유지하여야 지급받을 수가 있으며 중도해지 시에는 적용받지 못합니다.
1. 급여 연동 : 0.6 %
급여는 총 36회차 이상이어야 하는데 적금을 신규 가입한 날을 포함한 달부터 만기 전전월 말일까지 급여 입금 월차가 36회 차 이상인 경우
2. 자동이체 조건 달성 : 0.3%
본인 명의의 입출금 통장에서 공과금 자동납부 2건 이상 월수 총 36회 이상
또는 KB Liiv M의 청년도약 LTE요금제를 월수 36회 이상 자동이체 한 경우
이때 자동이체 기간은 신규일이 포함된 달 부터 만기 전전월 말일까지입니다.
3. 주택청약 보유 : 0.1%
가입 기간 중에 주택청약 종합저축 또는 신규가입일을 기준으로 KB청년희망적금을 만기 해지 하는 고객
4. 개인 소득요건 소득조건을 충족하는 횟수 : 최대 0.1%~0.5%
매년 청년 도약계좌를 개설한 이후 개인의 소득금액의 소득요건이 충족하는지를 확인하며 1년을 주기고 심사하게 되는데 이때 충족 횟수에 따라서 1회에 0.1%씩 올라 최대 0.5%까지 적용
5. 정부기여금 만기해지 시 지급
-개인소득 2400만 원이하(종합소득 1600만 원 이하) 월 적금납입원금과 40만 원 중 적은 금액기준 6% (최대 24000원)
-개인소득 2400만원 ~ 3600만 원 이하(종합소득 1600만 원 초과 ~ 2600만 원 이하) 월 적금 납입원금과 50만 원 중 적은 금액 기준 4.6% (최대 23,000원)
-개인소득 3600~4800만 원 이하(종합소득 2600~3600만 원 이하) 월적금 납입원금과 60만 원 중 적은 금액 기준 3.7%
-개인소득 4800~6000만 원 이하 ( 종합소득 2600~3600 이하) 월적금 납입원금과 70만 원 중 적은 금액 기준 3.0%
-개인소득 6000만원초과(종합소득 4800 초과) 정부기여금 미지급
가입대상
- 가입 가능 연령 만 19세~ 만 34세 이하인 청년대상( 병역의무를 이행한 경우 6년 한도로 병역기간 차감)
- 개인 소득 직전 과세기간 기준 총 급여 7500만 원 이하
- 가구 소득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은행마다 우대금리 조건이 상이합니다.
아래내용에 은행별 우대조건 확인하시고 가장 유리한 은행으로 선택하시면 좋으실 듯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청년도약계좌 5년 5000만원만들기 우대금리조건
윤정부 청년지원사업의 하나인 10년에 1억 만들기 공약 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가 드디어 6월 15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가입에 대한 궁금한 점을 모아 알려드리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요약 가
envie77.com
2023년 청년 내일채움 공제 개편내용
작년에 시행하여 청년이 300만 원 기금 가입 후 2년 후 1200만 원을 적립받던 구조였으나 올해 2023년 내용이 개정되었습니다. 2023년 개정된 청년내일채움공제 기업규모, 적립금 등의 내용을 꼼꼼히
envie77.com
취업사이트 워크넷 해외취업 외국계기업취업가이드 활용방법
취업사이트 워크넷 해외취업 외국계기업취업가이드 활용방법
일자리를 찾고 있는 분들이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정부 운영사이트인 워크넷의 채용정보홈을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채용정보홈의 구성과 채용캘린더, 4차 산업 관련, 테마별 채용관,
envie77.com